자격증/IT
정보처리산업기사(필기) - 전자계산기 구조 : 명령 실행과 제어 (주요 명령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, 제어기의 구현)
막
2021. 4. 11. 23:06
728x90
반응형
주요 명령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
ADD : AC ← AC + M[AD]
Micro Operation | 의미 |
MAR ← MBR[AD] | MBR에 있는 명령어의 번지부분 MAR에 전송 |
MBR ← M[MAR] | 메모리의 MAR이 지정하는 위치 값 MBR에 전송 |
AC ← AC + MBR | 누산기 값과 MBR값의 합 누산기 전송 |
LDA(Load to AC) : AC ← M[AD]
Micro Operation | 의미 |
MAR ← MBR[AD] | MBR 명령어 번지 MAR에 전송 |
MBR ← M[MAR] AC ←0 |
- 메모리의 MAR 위치 값을 MBR에 전송 - AC에 0 전송으로 AC 초기화 |
AC ← AC + MBR | - 메모리의 MBR과 AC 합 AC 전송 (메모리 값을 AC로 불러옴) |
STA(Store to AC) : M[AD] ← AC
Micro Operation | 의미 |
MAR ← MBR[AD] | MBR의 명령어 번지 MAR에 전송 |
MBR ← AC | AC의 값을 MBR에 전송 |
M(MAR) ← MBR | MBR 값을 메모리의 MAR에 전송 |
BSA(Branch and Save Return Address)
Micro Operation | 의미 |
MAR ← MBR[AD], MBR[AD] ← PC, PC ← MBR[AD] |
- MBR의 명령어 번지 MAR에 전송 - PC 값(복귀주소)을 MBR의 주소로 전송 - MBR의 주소를 PC로 전송 |
M[MAR] ← MBR[AD] | - MBR의 명령어 번지를 메모리 MAR에 전송 |
PC ← PC + 1 | - PC값 1증가 |
제어 데이터
- 제어 신호 발생을 위한 자료, CPU의 메이저 상태와 타이밍 상태에 따라 제어 신호 발생
- 제어 데이터 종류
- 메이터 스테이트의 변천 제어
- 중앙처리장치 제어점 제어
- 인스트럭션 수행 순서 결정
구분 | Fetch | Indirect | Execute | Interrupt |
State 간 변이용 |
명령어 종류 주소 지정 방식 |
주소 지정 방식 | 인터럽트 요청 신청 | 없음 |
제어점 제어용 |
명령어 | 유효주소 | 명령어의 연산자 | Interrupt 체제에 따라 달라짐 |
수행 순서 제어용 |
PC | 없음 | PC | Interrupt 체제에 따라 달라짐 |
제어장치의 비교
마이크로 연산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 신호를 보냄
구분 | 고정배선 제어장치 (Hard-wired Control Unit) | 마이크로 프로그래밍 기법 |
반응 속도 | 고속 | 저속 |
회로 복잡도 | 복잡 | 간단 |
경제성 | 비경제적 | 경제적 |
융통성 | 없음 | 있음 |
구성 | 하드웨어 | 소프트웨어 |
마이크로 명령의 형식
수평 마이크로 명령
- 한 비트가 한 개의 마이크로 동작 관할
- Micro Operation부가 m bit이면 m개의 마이크로 동작 표현
- Address부 주소로 다음 마이크로 명령 주소 결정
수직 마이크로 명령
- 디코딩 회로 필요
- 한 개 마이크로 명령으로 한 개 마이크로 동작
- 마이크로 명령어 비트 수 감소
- 제어 기억장치 용량 감축
- 비트 해독 지연 발생
나노 명령
- 나노 메모리에 저장
- 디코더를 ROM(나노 메모리)으로 두 메모리 레벨로 구성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