위와 같은 그래프로 콜리전에 닿았을 때 level을 이동하는 기능을 블루프린트에서 구현할 수 있다. 이벤트를 보면 On Component Begin Overlap이라고 되어있는데 블루프린트에서는 Actor보다는 Component로 개념을 나눈다.
다른 맵으로 이동할 때 페이드 아웃 효과를 제작해보자.
시네마틱 → 레벨 시퀀스를 추가하고, 위 사진과 같이 페이드 트랙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.
블루프린트에서 시퀀스를 추가하려고 드래그하면 위 사진처럼 안된다고 뜬다. 오른쪽 사진과 같이 시퀀스는 '레벨 시퀀스'라는 타입으로 이루어져있다.
이럴 때는 변수로 추가해주어야하는데, 변수 유형을 그림과 같이 level sequence의 오브젝트 레퍼런스로 설정한다.
그러면 이렇게 레벨 시퀀스 에셋을 넣을 수 있는 변수가 된다!
level sequence player를 통해 시퀀서를 재생하도록 준비하고, play를 통해 sequence를 재생한다.
delay를 통해 1초 동안 재생한 이후 open level로 레벨을 이동시키도록 순서를 구성했다.
위 사진과 같이 그래프를 구성하여 이전에 만든 fade out 시퀀서를 반대로 실행하려 fade in으로 사용할 수 있다.
참고로 위 그래프에서의 시퀀서 변수 SQ_Fade는 월드 아웃라이너에서 시퀀서를 그냥 가지고 온 것이다. 이것은 레벨 블루프린트이기 때문에 가능하다.
다른 레벨의 레벨 블루프린트에 똑같은 그래프를 복붙하였으나, 위 사진을 보면 BeginPlay 였던 것이 CustomEvent로 바뀌었다. 사실 BeginPlay는 LifeCycle함수이기 때문에 두 개 이상 존재할 수 없다.
따라서 이렇게 시퀀스를 이용해서 순서를 지정해준다. Then 0의 노드끝까지 실행 후 다음 Then 인덱스를 실행한다.
이전 사진에서 미확인으로 되어있던 노드는 다른 레벨에있던 오브젝트를 가져온 것이기 때문에 현 레벨에 있는 시퀀서 오브젝트를 가지고 온다.
'개발 · 컴퓨터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penGL 공부일지 - OpenGL Super Bible 버텍스 프로세싱 및 드로잉 커맨드 - 5 (0) | 2022.04.01 |
---|---|
Learning Unreal 4 언리얼 공부일지 - 라이트 모빌리티 종류와 라이트 최적화의 관계를 알아보자 (0) | 2022.03.31 |
OpenGL 공부일지 - OpenGL Super Bible 버텍스 프로세싱 및 드로잉 커맨드 - 4 (0) | 2022.03.29 |
Learning Unreal 4 언리얼 공부일지 - 나이아가라 시스템 사용해보기 (0) | 2022.03.28 |
OpenGL 공부일지 - OpenGL Super Bible 버텍스 프로세싱 및 드로잉 커맨드 - 3 (0) | 2022.03.27 |